
반월상 연골파열 절제수술을 받게 되면 봉합수술보다는 비교적 '회복기간'은 빠르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30% 내측 부분 절제를 했는데 4일만에 퇴원했습니다. 퇴원 후 목발은 약 2주 정도 했던것 같네요 저 같은 직장인들은 생업이 있다보니 계속 병원신세를 질 수가 없죠. 제대로 재활치료도 받지 못하고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여하튼, 비교적 빠른 회복기간으로 어느정도 시긴이 지나면 특별한 재활을 하지 않아도 당장은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뭐 당연히 사람마다 수술 예후가 다르기 때문에 증상이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저 같은 수술 후 양상을 보입니다. 반월상연골 절제수술 회복기간 평균값 당연히 사람마다, 수술을 어떻게 진행헀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그럼에도 평균적인 회복기간이 궁금하기에..

반월상연골파열 수술을 받은지 어언 10년이 지났고, 지금은 다시 재파열된 상태로 수술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때는 잘 모르고 쉽게 결정했지만 나이를 먹어가고 몸의 소중을 느끼면서 전문의의 의견은 당연히 존중하되, 내 스스로 공부는 해서 정말 필요한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되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무릎에 대해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수술은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된 아주 잘 만들어진 영상을 공유하고, 주요학회에서 무릎과 관련된 연구 내용을 요약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 수술추세의 변화 반월상연골 절제술을 해도 된다. 불필요하다 등 아직도 의사들 사이에서 계속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형외과 의사들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죠 반월상연곺파열 수술은 사실 굉장히 흔..

감기약(독감약) 먹고 음주를 해도 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안 좋다는 이야기, 먹지 말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성분 때문에 안좋은지, 조금 더 의학적 배경을 알고 싶어 졌습니다. 감기약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몇 가지 약물은 감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당연히 도움이 되지만, 술(알코올)과 만나면 심각한 부정적인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관련기사) 술과 멀리해야 할 대표 성분 우리 흔히들 접하는 약이죠 발열 또는 두통이 있었다면 한 번쯤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일반복합 감기약과 독감약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거 자체로도 과다 복용하면 당연히 안 좋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과다복용은 급성 간부전의 주요 원인이며 미국에서는 이로 인해 한 해 500여..
무릎 관절경 수술은 굉장히 흔하게 시행됩니다. 대부분의 수술(시술)이 그러하듯 효과가 있다면 부작용도 존재합니다. 관절 수술도 마찬가지 부작용이 존재합니다. 무릎 관절경 수술 합병증의 전체 위험은 약 5%, 심각한 합병증 위험의 가능성은 1% 미만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국 무릎 관절경 수술 연구기사 참고 일반적인 부작용 첫번째 부종 부종은 관절 내 염증의 징후입니다. 무릎 관절경 수술 전 이미 관절이 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수술 이후에도 무릎 부종이 지속되고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부종은 관절 내 지속적인 염증, 관절 내 출혈 또는 감염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 휴식, 얼음찜질, 압박 붕대, 사지 높이기 등 ..